줄거리
15년의 감금, 그리고 충격적인 진실
어느 날, 평범한 회사원 오대수(최민식)는 술에 취해 경찰서에서 난동을 부리다 풀려나던 중 갑작스레 누군가에게 납치된다. 그리고 눈을 떠보니 그는 알 수 없는 공간, 창문도 없는 방 안에 갇혀 있다. 그곳엔 텔레비전 한 대와 간단한 욕실, 그리고 배달되는 군만두뿐이다. 왜 갇혔는지도, 누가 그런 짓을 했는지도 모른 채 그는 무려 15년이라는 시간을 감금당한 채 살아간다.
감금된 동안 오대수는 아내가 살해당했다는 뉴스 보도를 접하게 되고, 자신이 살인범으로 몰렸다는 사실도 알게 된다. 끊임없는 고통과 혼란 속에서 그는 언젠가 자유의 몸이 되어 복수하겠다는 다짐만으로 버틴다. 그리고 어느 날, 마치 장난처럼 그는 갑자기 풀려난다. 세상 밖으로 던져진 그는 자신을 가둔 자를 찾기 위한 집요한 추적을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그는 미도(강혜정)라는 젊은 여성을 만나 도움을 받게 되고, 점점 감정적인 유대감을 형성해 간다. 결국 그는 자신을 가둔 인물이 바로 ‘이우진’(유지태)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하지만 그의 복수는 단순히 누군가를 응징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오대수는 점차 자신이 왜 감금되었는지, 이우진이 왜 이런 짓을 벌였는지를 파헤쳐가며 끔찍한 진실에 도달한다.
그 진실은 과거 오대수가 고등학교 시절 무심코 친구에게 퍼뜨린 루머에서 시작된다. 당시 이우진은 여동생과 근친 관계에 있었고, 그 사실이 퍼지며 여동생은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그 일로 인해 인생이 무너졌다고 생각한 이우진은 오대수에게 똑같은 고통을 주기 위해 15년의 감금, 인위적인 사랑, 치밀한 조작을 설계한 것이다. 마지막 반전에서 오대수는 자신이 사랑에 빠진 미도가 사실은 자신의 딸이라는 사실을 마주하게 된다.
이우진의 복수는 완성되었고, 오대수는 무너진다. 그러나 그는 끝까지 미도가 진실을 알지 못하게 하려 애쓰며, 모든 고통을 홀로 감당하기로 결심한다. 영화는 마지막까지 그들에게 남은 감정과 선택을 암시하며 끝난다.
느낀점
복수의 끝, 그리고 인간의 나약함
《올드보이》는 단순한 복수극이 아니다. 겉으로 보기엔 충격적인 반전과 폭력, 스릴이 중심인 것 같지만, 그 안에는 인간의 심연에 대한 철저한 해부가 담겨 있다. 무엇보다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등장인물 누구도 완전히 선하거나 악하지 않다는 것이다. 오대수는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가해자였고, 이우진은 가해자이면서도 자신의 상처를 지닌 피해자였다. 이 모호한 경계 속에서 영화는 도덕적 판단을 유보하게 만들며, 관객에게 불편한 질문을 던진다.
복수는 과연 정당화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복수는 정말로 고통을 끝낼 수 있는가? 이우진은 복수를 완성하지만, 과연 그가 평온을 얻었을까? 오대수는 처절한 무너짐 속에서 딸을 지키려 하지만, 그 선택은 진정한 용서였을까? 영화는 명확한 해답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인간의 나약함과 감정의 복잡함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또한 이 작품은 사랑과 집착, 죄의식과 기억이라는 테마를 통해 인간의 본성에 접근한다. 자신이 알지 못한 죄에 의해 벌을 받는 오대수의 모습은, 우리가 일상 속에서 얼마나 많은 무의식적 상처를 남기며 살아가는지를 떠올리게 한다. 기억 속의 죄는 과연 잊혔다고 해서 사라진 것일까? 그리고 누군가에겐 그 기억이 인생 전체를 파괴할 만큼 강렬한 고통이 될 수도 있다.
총평
《올드보이》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간의 감정을 모두 응축한 한 편의 강렬한 드라마다. 이 영화는 단순히 “누가, 왜, 어떻게”의 이야기만을 다루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는 왜 이렇게 사는가”, “우리가 저지른 말과 행동은 어떤 결과를 낳는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바로 그 지점이 《올드보이》가 단순한 반전 영화나 스릴러 그 이상으로 평가받는 이유다.
당신이 복수에 대한 영화, 아니 인간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다면, 이 영화는 반드시 봐야 할 작품이다. 단 한 번의 관람으로 끝나지 않고, 여러 번 볼수록 새로운 해석과 감정이 떠오르는 그런 작품.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강렬하고, 여전히 잊히지 않는 영화. 그 이름은 바로 《올드보이》다.